옴의 법칙(Ohm's Law)
|
|
![]() |
전기 흐름의 방해하는 작용을 전기 저항이라하며, 저항이 클수록 전류는 적게 흐른다. 독일의 옴은 전압과 전류와 저항의 관계를 정리하여 옴의 법칙을 만들었다. 이를 옴의 법칙이라 하며 왼쪽에 보인 식과 같고, |
![]() |
전압강하 |
전기회로를 간단히 그리면 왼쪽의 회로와 같은데 회로에 전류가 흘러 저항을 통과하면 저항에는 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이 생긴다. 이때, 저항에 생기는 전압을 전압강하라 한다. 저항에 생기는 전압은 V=I R[V]로 구한다. |
저항의 접속
- 직렬 접속- |
|
|
저항의 접속은 합성저항이 증가하는 |
![]() |
직렬 접속은 저항의 합이 증가하는 것으로 합성저항은 전체를 더한 것과 같다. |
직렬접속의 전압과 전류
|
|
![]() |
|
전체전류는 1[A]가 되며, 각 전압이 1, 2, 3[V]이므로 합하면
전원 전압과 같은 6[V]이된다.
저항에 비례하여 전압이 분배된다. 전체 저항은 전체를 더한 값이 된다. 전체회로에 가한 전압 6[V]는 3개의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여 나누어지고(분배) 각각을 더한 값과 같게된다.회로에 6[V]를 가했을 때, 각 저항에 생기는 전압강하는 저항값에 비례하여 생기고 이를 합하면 전원 전압과 같게된다. |
◀ 회로해석 |
▶병렬접속
|